PoBD

푸조/시트로앵 디젤 OBD 스캐너 앱 개발 이야기

DPF 5

PoBD_Urea앱 만들기(23) - Soot 총중량 / DPF(FAP) 잔량 오류 개선

카페 회원님께서 사용중 의견 주신것중 일부 개선한 내용입니다.1) DCM71(508sw 2.0)의 경우 soot 총중량 항목 누락 (소수점 2자리 확대 요청 추가)2) DPF(FAP) 용액 탱크 크기보다 남은 용액 잔량이 많음 (DCM71 ECU만 해당)   1)번 문제의 경우 DCM71 ECU만 있는 문제입니다.(아래 좌측 : EDC17C60 ECU,  우측 사진 : DCM71(508 sw 2.0)) 1)번 문제는 앱 개발 당시부터 고민이 많았던 부분입니다. DPF 관리를 위해서는 충분한 재생 시간 확보하는것이 중요하고 이것의 지표가 바로 soot 총중량이기 때문입니다. (크리스님은 매우 잘 관리하고 계시는듯합니다.)하지만 Diagbox 확인해보 508 sw 2.0에 적용된 DCM71 ECU에는 이항목..

(가칭)PoBD_Urea앱 만들기(1)

9/8일 글쓴 이후, 3개월만에 다시 작성합니다.제 508 차량에는 에러가 더이상 발생 안하기도 했고, 개인적인 사정이 있어서 앱 만드는 작업에서 손을 놓았었습니다.다행이 일은 마무리 되었고,작업 중단전에 네이버 푸조카페 회원님중 "크리스"님의 도움을 받아서요소수 사용하는 모델 차량중 EDC17C60 ECU data 수집해서 일부 분석해 놓은것이 있었기 때문에 이것을 기본으로 작업을 다시 시작할 수 있었습니다.거의 3개월동안 작업 못했기 때문에 그간 작성했던 코드도 기억이 가물거려서 다시 이해해야(?)했고,  처음 만들었던 PoBD앱의 코드를 절반만 재사용 가능할 정도로 ECU체계가 다른것도 문제가 있었지만일단 시작하고 나니 조금씩 적응되고 있습니다.이전 앱이 HDI_DSI807_BR2 ECU만 동작했다..

( DPF 첨가제 보충) 전후 비교 : PoBD app data 분석

Fault code 삭제해도 계속해서 다시 나타나므로 신경 쓰여서 서둘러 교체했습니다.세종에서 수원까지 가야했지만 엔진 교체 작업했던 업체라 믿고 다시 방문했습니다.1) 소요 비용 : 18만원 2) 작업 내용 :    - DPF 첨가제 2리터 보충    - DPF관련 코딩(에러 삭제, DPF관련 초기화) [  보충 후 달라진점  ]PoBD앱에서 전후 비교한 결과, 몇 가지만 기술하면 아래와 같습니다.가장 관심있었던 Ash 막힘 수준은 DPF 클리닝 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0%로 변경되어 있었습니다.(역시 센서에 의해 막힘 판단하는 것이 아니라 ECU가 특정 기준 참고하여 계산한 것이 맞는것으로 추정됩니다.)1) Ash 수준(막힘)   : 100   → 0% 2) DPF 잔여 수명    : 0      ..

( DPF 첨가제 부족 ) 드디어(?) Fault 발생했습니다. (P1445, P15B3)

(이전글) 푸조 진단기 사용 후기 - FAP citroen/peugeot elm327 obd2 앱오!!!   기다리고 기다리던(?!!) DPF관련 Fault 발생했습니다.처음 발생한 Fault code P1445이고 하루 지나서  P15B3 추가 발생했습니다.Fault 발생 기다렸던 이유는 두가지입니다.작년 4월에 엔진 교체후 각종 엔진 엔진 data 모니터링 중이였습니다.(약 15개월)첫번째, DPF 수명이 얼마 안남았다고 진단기가 알려주는데 어떤 수치에 의해서 Fault 발생하는지 궁금했으며,두번째, 새롭게 만든 앱이 Fault 코드 정확하게 인식하고 표출하는지와 삭제 기능 정상 동작하는지 확인 하기 위해서 입니다.기존에 사용하던 FAP앱 결과인 아래 사진보면, ① DPF 상태 :  FAP앱 기준으로..

<3단계> iOS, Android 겸용 Peugeot OBD앱 - DPF 재생 알림 기능

508 엔진 ECU data 읽어와서 "배기 라인 정보" 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총주행 거리 : 171392km 기준) 상황을 대충 정리하면, DPF가 99% 막혔고 1944km 주행 이후에는 DPF 크리닝해야 할것으로 정리됩니다.하지만 현재로서는 그럴 계획은 없습니다.(DPF 용액도 보충단계는 아닌듯 하구요..)이유 인즉,"DPF 입/출력 압력차"가 낮기 때문에 실제로는 막혀있지 않다는 판단을 하고 있으며, 이것에 대한 세부 분석글은 추후에 다루기로 하겠습니다.여기서 다룰 부분은 Soot 총중량이 특정값에 근접하면 DPF 재생이 된다는 것이로 이를 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해주는 기능 추가했다는 것입니다.(위의 사진에서 "ON"으로 깜박 거리도록 표기된 부분)Soot 총중량 기준값은 외부/내부 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