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8 엔진 ECU data 읽어와서 "배기 라인 정보" 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총주행 거리 : 171392km 기준)
상황을 대충 정리하면, DPF가 99% 막혔고 1944km 주행 이후에는 DPF 크리닝해야 할것으로 정리됩니다.하지만 현재로서는 그럴 계획은 없습니다.(DPF 용액도 보충단계는 아닌듯 하구요..)
이유 인즉,
"DPF 입/출력 압력차"가 낮기 때문에 실제로는 막혀있지 않다는 판단을 하고 있으며,
이것에 대한 세부 분석글은 추후에 다루기로 하겠습니다.
여기서 다룰 부분은 Soot 총중량이 특정값에 근접하면 DPF 재생이 된다는 것이로 이를 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해주는 기능 추가했다는 것입니다.(위의 사진에서 "ON"으로 깜박 거리도록 표기된 부분)
Soot 총중량 기준값은 외부/내부 환경에 따라 영향을 받는것으로 추정되며,
겨울철에는 6G/l 이전에 재생이 이루어졌었는데, 최근에 확인해 보니 거의 9G/l 근처까지 도달해야 진행되는 것으로 확인됩니다.
DPF가 진행되면 위의 사진과 같이 "Soot 총중량"이 줄어들어 0에 가깝게 되면 재생이 종료되고 깜박임도 사라집니다.
줄어 드는 속도가 재생 초기 단계에서는 빠르지는 않습니다. 아래 영상 참고 하세요.
(DPF 재생 초반부 : "DPF 상단 온도" 증가시키는 시간이 필요 --> 600'c 이상)
https://youtube.com/shorts/FsBFeBMNxnk?si=ENhj9VL2f-PNDUUn
(DPF 재생 후반부 : "DPF 상단 온도"가 충분히 가열된 경우 DPF 재생이 원할함 --> 500'c 이상)
https://youtube.com/shorts/H7wbsjgcU58?si=1s8Z-b_NLRL85kpE
위의 영상은 신호 대기중 촬영한 것으로,
DPF재생중에 시동만 꺼지지 않으면 중단되지 않고 여전히 잘 재생되는 것으로 확인됩니다.
여기서 중요한 부분은
"DPF 재생 진행" 정보를 확인하면서
DPF 재생이 진행중인 동안(고속도로든, 시내주행이든...) 차량 운행을 계속 유지하는 것입니다.
고속도로를 주행 하지 않더라도 시내주행만으로도 DPF 재생은 잘 진행되는 것으로 확인됩니다.
하지만, 주로 짧은 거리의 시내 주행 하는 경우 DPF 재생중에 운행 중단되면 재생 STOP되고 이런 상황이 누적되면 "DPF 입/출력 압력차"를 점점 높힐 것으로 예상됩니다.
'Peugeot OBD app 만들기 도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4단계> iOS, Android 겸용 Peugeot OBD앱 - 최종 운행중 시현 test (1) | 2024.06.30 |
---|---|
<4단계> iOS, Android 겸용 Peugeot OBD앱 - 접속 끊김과 속도 저하 (0) | 2024.06.30 |
<3단계> iOS,Android 겸용 Peugeot OBD앱 - 에러 삭제 추가(4) (0) | 2024.05.25 |
<3단계> iOS,Android 겸용 Peugeot OBD앱 개선 버전(3) (1) | 2024.04.26 |
푸조(peugeot) 디젤 차량에 적합한 미니 OBD(ELM327) 스캐너 인터페이스 (0) | 2024.04.24 |